수질 및 퇴적물
수질 및 퇴적물
1. 연구 목표
- 수질 및 퇴적물 현황 파악과 수질변화요인 규명
단 수질 정선조사 결과는 해양환경관리공단에서 수행하는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활용
- 수층에서의 용존산소소모량 및 퇴적물 영양염 용출량 산정
- 해역 수질 모델링 관련 자료 생산
2. 조사개요 및 방법
1. 조사개요
- 방조제 축조 이후 폐쇄된 시화호 환경은 수질 및 저질 환경의 악화 초래
- 배수갑문만으로는 유통되는 유량이 한정되고, 배수갑문이 호의 끝에 설치되어 있어 수 질 개선에 한계 : 수질변화는 배수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 등에 따라 국지적으로 변 동이 있었으나, 조력발전소 가동 이후 해수 교환으로 방조제 내측 수질은 많이 개선됨
- 해역수질모델을 수립하고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물질순환 파악이 필요
2. 조사방법
- 조사지역
시화호 및 주변해역 수질 조사정점(해양환경측정망)
시화호 및 외측 표층퇴적물 조사지점
시화호 및 외측 용출 및 수질 연속관측 조사지점
- 조사항목
<수질 조사항목, 정점 및 주기>
조사항목 | 조사주기 | 시료채취방법 | 비고 |
정선 표층수 조사 - T, S, 투명도, DO, pH, Chl-a, SS, 영양염, TN, TP, COD, DOC, POC, 중금속 | 내측 및 외측: 12회/년 (2, 5, 6, 7, 8, 9, 11월) | 니스킨채수기 |
내측 10,
|
연속관측 - T, S, DO, pH, Chl-a, 영양염, TN, TP, COD, DOC, POC | 2회/년 (6, 8월) | 연동펌프 | 내·외측 각각 1개 정점 |
<퇴적물 조사항목, 정점 및 주기>
조사항목 | 주기 | 시료채취 방법 | 비고 |
표층퇴적물 - 입도, IL, TOC, TN, TP, COD, 중금속 | 1회/년 (7월) | Grab으로 채취 | 내측 14, 외측 21개 정점 |
산소소모량, 유기물 및 영양염 용출량 | 1회/년 (7월) | 다이버 이용 | 내측 2개, 외측 1개 정점 |
3. 수질의 일반 현황
- 2006년 배수갑문 조작방식의 변경으로 COD는 다소 개선되었으나 이후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, 조력발전소의 전면 가동이후인 2012년부터 낮아져서 2017년에는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음
- 2021년에 수질평가지수는 동계와 하계에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며, 동계는 Chl-a, 하계에는 용존무기인의 영향으로 높은 수질평가지수가 나타남
- 2021년 수질평가지수 평균은 36로 3등급(보통)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, 2020년 평균 32에 2등급(좋음) 수준과 비교 시 수질이 나빠짐
- 2017~2019년은 수질평가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, 2020~2021년은 수질평가지수가 유사한 수준을 보임
시화호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COD 변화 (해양환경측정망)
시화호 상류 및 중하류 해수 수질평가지수 및 수질 등급 변화 (해양환경측정망)
4. 퇴적물 중금속 현황
- Li으로 입도보정한 Cu의 경우 총 14개 정점 중 5개(2, 3, 4, 5, 7)에서 주의기준(TEL)을 초과하였음
- Zn은 총14개 정점 중 3개 정점(2, 3, 4)에서는 주의기준을 초과하고 있음
- 그 외 Cr, Ni, Cd, Pb, Hg은 모든 정점에서 주의기준을 초과하지 않음
시화호 표층 퇴적물 내 중금속 함량과 주의기준(TEL) 및 관리기준(PEL)과의 비교 (2021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