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서 생태계
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호에는 넓은 갯벌이 복원되었다. 본 연구의 목표는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갯벌의 저서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갯벌 활용과 관리를 위한 기반 자료를 생산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해 2021년도에는 시화갯벌의 환경과 대형저서동물 군집 및 패류자원/해양보호생물 서식지 분포를 조사하였다.
1. 연구목표
- 시화조력발전 가동 후 새롭게 형성된 시화갯벌의 저서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갯벌의 활용과 관리를 위한 기반자료를 생산
2. 연구내용 및 방법
1) 연구내용
- 시화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의 변화 및 저서생태계 자이 변동 분석
- 시화갯벌 패류자원 및 해양보호생물의 공간적 분포 및 연도별 변화 파악
2) 연구방법
- 연구지역: 시화갯벌
<그림1> 시화갯벌 저서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지역 및 조사정점도
- 조사방법
조사항목 | 주기 | 조사방법 | 비고 |
대형저서동물 | 2회/년 | - 연체동물, 갑각류, 갯지렁이류 등 저서동물군집 조사 - 주상시료채니기 이용한 내서동물 정량채집 - 0.5mm 체 이용, 정점별 4회 반복채집 | 18개 정점 |
서식지 mapping | 1회/년 | - 50cm*50cm 방형구 이용 종별 개체수 및 생물량 조사 - 위성영상 분석법을 이용한 주요 패류자원(바지락, 가무락, 맛, 동죽 포함) 및 우점종의 정밀 공간분포도 작성 | 71개 정점 |
3. 연구결과
<그림2> 2011-2021년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와 출현개체수의
연도별 공간분포 (박스안의 숫자는 평균값을 의미함)
<그림3> 2011-2021년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 종다양도지수와 서식지교란도지수의
연도별 공간분포 (박스안의 숫자는 평균값을 의미함)
○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갯벌은 2018년까지 출현종수, 종다양도지수 등과 같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제반지수가 증가 및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냈음
○ 하지만, 2020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및 종다양성지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2021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임
<그림4> 시화갯벌 바지락과 가무락 개체수의 연도별 공간분포
<그림5> 시화갯벌 동죽과 맛 개체수의 연도별 공간분포
<표1> 시화갯벌 패류자원의 평균밀도, 평균 생체량의 연도별 변화
Species | 평균밀도 (개체수/m2) | 평균 생체량 (습중량 g/개체) | ||||||||||||
20 15 | 20 16 | 20 17 | 20 18 | 20 19 | 20 20 | 20 21 | 20 15 | 20 16 | 20 17 | 20 18 | 20 19 | 20 20 | 20 21 | |
바지락 | 9 | 27 | 18 | 11 | 13 | 21 | 17 | 4.9 | 5.0 | 4.8 | 4.8 | 5.1 | 5.7 | 6.1 |
가무락 | 5 | 8 | 6 | 5 | 7 | 6 | 5 | 9.0 | 10.1 | 6.3 | 1.9 | 8.5 | 9.3 | 10.0 |
동죽 | 31 | 38 | 37 | 18 | 17 | 2 | 1 | 12.7 | 13.7 | 8.3 | 3.7 | 8.0 | 11.0 | 22.7 |
맛 | 36 | 52 | 19 | 5 | 7 | 2 | 3 | 6.6 | 3.6 | 3.8 | 3.0 | 3.2 | 3.2 | 2.6 |
○ 바지락과 가무락의 서식밀도는 2020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서식지는 소폭 증가하였음
○ 동죽의 서식밀도는 2020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서식지는 동일했으며 맛의 서식밀도와 서식지는 소폭 증가하였음
<그림6> 시화갯벌 가리맛 서식지
○ 2021년 형도 동측 갯벌과 형도와 우음도 사이 갯벌의 수로 부근 패류자원인 가리맛이 새롭게 출현하였음
○ 신규 패류자원의 서식지 분포 파악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
<그림7> 시화갯벌 흰발농게 서식지
<표2> 흰발농게 평균밀도의 연도별 변화
Species | 평균밀도 (개체수/m2) | |||||
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2021 | |
흰발농게(Uca lactea) | 4 | 12 | 24 | 4 | 4 | 6 |
○ 멸종위기보호종(2급)인 흰발농게의 서식밀도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21년 소폭 증가하였음
<그림8> 시화갯벌 흰이빨참갯지렁이 서식지
<표3> 흰이빨참갯지렁이 평균밀도의 연도별 변화
Species | 평균밀도 (개체수/m2) | ||
2018 | 2020 | 2021 | |
흰이빨참갯지렁이(Periserrula leucophryna) | 10 | 13 | 8 |
○ 해양보호생물인 흰이빨참갯지렁이의 서식지가 2020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서식밀도는 감소하였음